
바이오 데이터의
수집, 정제, 통합, 그리고 연결
서로 다른 형태의 공공 바이오 데이터, 과학서적 데이터,
그리고 바이오 연구 데이터는 수집 및 정제 방법이 다 다릅니다.
쓰리빅스는 데이터 설계 노하우를 바탕으로 각각의 바이오 데이터를
통합하여 신약개발, 바이오마커 발굴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합니다



신약 개발, 다른 방법으로 접근합니다
통합 바이오 데이터베이스와 AI 기술의 조합
쓰리빅스는 약물, 유전자, 질병, 임상시험,
논문 정보등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약물 재창출 또는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신약 재창출을 목표로
전통적인 신약 개발 방식을 벗어나
엄격한 내부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습니다.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법(NGS) 기반의
생명정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최신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와 바이오인포메틱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유전체, 전사체,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분석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바이오마커 발굴 및 약물의 작용기전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3가지 분석 서비스는 쓰리빅스가 잘하는 분야중 하나입니다.

유전체 분석
Genome Analysis
WGS (Whole Genome Sequencing)
WES (Whole Exome Sequencing)
– Reference / De novo

미생물균총 분석
Microbiome Analysis
16S-rRNA Amplicon Sequencing
(Bacteria, Fungi)
Whole Metagenome Sequencing